본문 바로가기
아동발달

아동발달연구의 역사 - 로마시대

by 메이여봄 2024. 1. 18.

아동발달연구의 역사

아동발달연구의 역사 저번블로그에서는 그리스 시대의 플라톤이야기를 써보았습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발달과 심리에 대한 개념이 전무하던 고대 그리스 시대에 최초로 학습자의 연령적 단계를 구분하였습니다. 그리고 개인차를 인정하고, 출생 이전부터의 교육을 강조하였으며, 더 나아가 오늘날 심리학의 주된 축인 환경과 유전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였습니다.

이번에는 플라톤의 제자였던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아동발달연구의 역사 - 아리스토텔레스

아동발달연구의 역사 - 그리스시대 (아리스토텔레스)

아동발달연구의역사 -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제자였지만 스승의 이론에 가끔도전하였습니다. 특히 육체와 정신을 분리해서 이해한 플라톤에 반대하여 육체와 정신은 분리될 수 없으며, 구조와 기능면에서 서로 관련되어 있따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정신세계의 세가지 수준에는 동의하여 생물학적 · 진화론적 관점에서 정신구조를 이해하였습니다. 인간과 동물세계를 명확히 구분짓는 마지막 수준은 이성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고할 수 있는 능력과 더불어 논리 및 이성을 활용할 수 있는 힘이 인간발달의 궁극적인 목적이고, 인간의 본질이라고 보았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발달단계를 3단계로 나누었습니다. 1단계는 생후 첫 7년간을 유년기, 2단계는 7세부터 사춘기까지를 소년기, 마지막으로 3단계는 사춘기부터 21세까지를 청년기라고 지칭하였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유년기까지는 동물과 유사한 발달단계를 거친하고 보았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유아와 동물은 둘다 쾌락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는 겁니다. 단지 아동을 동물과 구별짓는 것은 아동이 동물보다 높은 수준의 발달로 이어지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점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청년기가 시작될 무렵에는 청년들이 참을성이 없고, 안정감이 없었으며, 자제력이 결여된 것으로 보았습니다. 그러나 21세쯤 되면 대부분의 청년들은 자기통제력을 갖게 된다고 보았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청년기의 가장 중요한 발달 측면은 자기결정이라고 보았는데 이것은 오늘날 말하는 독립심이나 자아정체감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청년들의 성공에 대한 욕망, 낙천주의, 신뢰감, 과거가 아닌 미래에 대한 관심, 동조행위,  용기, 우정,  이상주의, 공격성 등에 관해서도 논의했는데 이런 주제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청년심리학에서 주요한 주제가 되고 있습니다. 

아동발달연구의 역사 - 로마시대

로마에서는 그리스와 마찬가지로 자녀의 생명을 결정할 수 있는 절대적인 권한을 아버지에게 부여하였습니다. 로마 시대 기본법에 의하면 아버지는 자식을 죽이거나 노예로 팔아도 벌을 받지 않았습니다. 로마에서 아이가 태어나는 순간 산파가 아이를 안아다가 아이의 아버지 앞에 내려놓았을 때 그 아이를 자식으로 인정하면 아이를 들어 올려 품에 안고, 그 아이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노예상들에게 넘기거나 길거리에 내다버리기도 합니다. 주로 아이에게 기형아이거나, 병이 있거나, 발달지체를 보일 경우 버림일 받았지만 정상아인 경우에도 집이 너무 가난하거나 이미 다른 자식이 여러 명 있을 때에는 버림을 받았습니다.

아동발달 연구의 역사 - 로마시대 양육법

로마시대 문헌들을 살펴보면 영아들에 대한 다소 가혹한 양육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생후 첫 몇 개월간 아기들을 침대에 눕힌 채 손목, 팔꿈치, 무릎, 발목을 붕대로 꽁꽁 싸매두었다가 2개월이 지나면 붕대를 약간 느슨하게 해 주고 오른손은 나중에 오른손잡이가 될 수 있도록 자유롭게 풀어 주었습니다. 목욕시킬 때는 따뜻한 물로 아이들을 씻기면 너무 연약하게 만든다고 믿었기 때문에 씻길때 는 아기들을 매일 찬물로 목욕을 시켰습니다. 목욕시킬 때 유모는 아기의 머리를 둥글게 만들기 위해 머리를 주무르고 턱과 코와 엉덩이도 모양을 다듬었습니다. 

이러한 가혹한 양육방법으로 인해 첫돌까지 살아남는 아기는 세 명 중 두 명꼴이었으며, 유아기 질병을 극복하고 사춘기에 도달하는 아이들은 절반도 채 되지 않았습니다.

로마 사회의 기본 단위는 가족이었다. 로마의 가정교육에서는 주요 교사는 아버지와 어머니였다. 아버지는 가정에서 신에게 제사를 드릴 때, 농사를 지을 때 자녀를 참여시켰습니다. 그리고 글쓰기, 계산하기, 검술 등 학문과 체육도 아버지가 가르쳤습니다. 어머니는 가정에서 자녀에게 올바른 가치관과 성품을 교육하였으며, 기본생활습관을 가르쳤습니다. 로마에서는 부인에 대한 존경심이 높았고 부인은 남편을 따라 회의와 회식, 재판과 같은 공식 석상에도 참여하였습니다.

아동발달 연구의 역사 - 로마시대 (키케로)

로마 시대에 최초로 아동기의 발달적 특성을 기록한 사상가가 있는데 바로 로마 공화시대의 사상가이며 정치가이자 웅변가인 키케로입니다.

키케로는 동물을 자세히 관찰하고 이를 토대로 아동의 발달을 추론한 최초의 사상가 중 한사람입니다. 키케로의 교육방법은 악을 없애고 선을 표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입니다. 키케로는 인간은 원래 선한 존재이며 교육에 의해 선으로 유도될 수 있고, 체벌로 아동에게 치욕을 주어서는 안 된다는 자유시민 교육을 주장하였습니다.  따라서 키케로는 아동교육은 체벌과 같은 폭력이 아닌 평화롭고 교훈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아동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발달의 정신분석이론  (0) 2024.01.21
아동발달연구의 역사 - 18세기  (0) 2024.01.19
아동발달의 연구의 역사 - 중세기  (0) 2024.01.18
아동발달연구의 역사  (0) 2024.01.17
아동발달의 쟁점  (0) 2024.01.17